중학교에서 정보 교사로만 근무하던 저는 작년에 고등학교로 새롭게 발령받아 적응과 배움의 한 해를 보냈습니다.
1학년 수업인 정보, 2학년 수업인 인공지능 기초와 프로그래밍(Python)을 각각 지도하며, 각 과목의 특성을 살려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하고자 노력했습니다. 처음에는 새로운 환경에서 다양한 과목을 운영하는 것에 대한 걱정도 있었지만,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각 과목에서 점차 성장해가는 모습을 보며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세 과목의 수업을 운영하며 각 과목별로 어떻게 교육을 설계하고 수업은 어떻게 진행했는지 공유해 보려고 합니다. 정보선생님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
올해 처음으로 시작한 1인 1과제 프로젝트는 저에게도, 학생들에게도 새로운 도전이었습니다. 처음 시작할 때는 '과연 잘할 수 있을까?', '학생들의 다양한 관심사를 어떻게 지원해야 할까?'하는 막연한 두려움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학생들과 함께 한 걸음씩 나아가며 이 프로그램이 가진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3월에 시작되는 우리 학교의 1인 1과제는 명확한 단계별 과정을 통해 운영됩니다. 우선 학생들에게 연구 주제 선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4월 첫째 주에 연구계획서를 제출받았습니다. 이후 매월 정기적인 면담을 통해 진행상황을 점검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며 프로젝트를 발전시켜 나갔습니다.
그럼, 지난해 진행된 프로젝트 중 특히 인상 깊었던 네 가지 사례에 대해 함께 살펴볼까요?🤗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인터넷의 일상화로 IT 기술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으며 중고등학교 학생들은 학교에서 코딩을 배우고 IT 관련 수업을 듣는 등 IT가 생활의 일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또한 뉴스에서도, 일상의 대화에서도 IT 이야기가 빠지질 않는데요. IT 관련 상식을 쌓고 IT 용어를 아는 것은 어디에서든 대화를 이끌어가는 힘이 되고 있습니다.
수많은 IT 상식 중에서 학생들이 알아두면 좋을 흥미롭고도 중요한 용어 5가지를 소개하고 개념을 확장하거나 함께 생각해볼 문제, 실습해볼 방법도 함께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와 소셜 미디어
✅ 디지털 리터러시
✅ 딥페이크
✅ 사물인터넷(IoT)
✅ 컴퓨터 비전
학생들 정보 교육에 유용하게 활용해 주시기 바라며, 더 많은 자료는 3월에 출간될 《IT 용어 상식사전》 도서에서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