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교육청의 '놀이로 경험하는 디지털 세상 언플러그드 학습 가이드'를 참고하여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한 인공지능 윤리 수업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학생들이 직접 프롬프트를 활용해 챗봇을 만들고 이를 통해 수업을 진행하는 것을 보며 교사로서 뿌듯함도 느꼈지만 한 편으로는 수업에 아쉬움이 남는 부분도 있었습니다. 직접 챗봇을 만들어 진행하는 수업이다 보니 에듀테크 역량이 부족한 학생들은 수업을 따라오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인공지능 윤리를 가르치는 것이 저의 주된 목표였던 만큼, 학생들이 디지털 역량의 장벽으로 인해 학습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상황이 매우 안타까웠답니다...😭
제가 준비했던 인공지능 윤리 수업의 상세 내용과 앞으로 이와 같은 수업을 진행할 때 유의할 점, 수업 자료 등을 선생님들과 공유해 보려고 합니다~
2022 개정교육과정 수업을 준비하던 중 '유무선 네트워크의 특성을 이해하고, 컴퓨팅 시스템 간 공유, 협력, 소통을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한다.'라는 성취 기준을 보며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공유, 협력,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도와주는 Git, Github가 생각나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
수업에서 IDLE이나 visual studio code를 사용하게 된다면, 공유와 협업을 유도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요. 이럴 때 코드 버전 관리, 협업에 유용한 Github를 사용해 보면 아주 편리하답니다. 그뿐만 아니라 이후 이공계를 진로로 생각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현업에서 사용하는 Git을 접하게 해 줌으로써 전문성을 길러줄 수 있어서 추후 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번 글에는 Git의 개념과 설치 방법을 소개해 드리고, 다음 글에서는 저장소 생성, 코드 업로드 및 수정 사항을 확인하는 실제 실습을 다뤄보려고 합니다. 앞으로 진행될 'Github 따라 하기'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