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이 되면 많은 선생님께서 생활기록부 작성에 부담감을 느끼실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시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도구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GPT for Sheets™ and Docs입니다. 이 도구는 구글 스프레드시트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어 간편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자동 생성 기능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어, 선생님들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습니다. 더욱 편리하게 생활기록부를 작성해 보세요! 😊😊
저는 올해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2학년 프로그래밍(PYTHON) 수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수업을 진행하며, 부족한 수업 시간과 학생들 간의 프로그래밍 실력 격차가 커 수업을 진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개별화된 학습을 지원하고, 응용문제 제작 및 코드 주석 추가 활동을 통해 이해도를 높였습니다. 또한, 언플러그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해 문제 해결 과정을 구조화하고, 조별 학습을 통해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습 격차를 줄였습니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나날이 발전해 가는 학생들을 보며, 보람을 느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메타휴먼을 활용한 영상 제작 서비스인 '플루닛스튜디오'를 선생님들께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플루닛스튜디오는 한글로 되어 있어서 사용하기도 편리하고, 웹 기반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무료로 5분 길이의 영상 제작이 가능하여 수업 자료 등에 활용하기 좋습니다. 그럼, 제가 플루닛스튜디오를 통해 어떤 수업 자료를 제작해 보았는지 확인하러 가 보실까요~!😎
이번에 소프트웨어의 날을 어떻게 운영하시는지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었는데요. 정말 감사하게도 114명의 선생님께서 응답해 주셨습니다. 선생님들께 설문 결과를 공유해 드리기 위해 자료를 정리하며 학교급별로 소프트웨어의 날을 언제, 어떻게 진행하는지도 확인해 보고, 여러 선생님들의 진행 방법을 보며, 앞으로의 운영 방식까지 고민해 볼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답니다. 선생님들께도 이 설문 결과가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전국에 계시는 정보 선생님들 모두 화이팅입니다! 💕
찬 바람이 부는 입시/취업의 계절이 다가왔습니다. 이번에는 '입시'가 목적인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근무 중이신 선생님과 '취업'이 목적인 마이스터고등학교에서 근무 중이신 선생님께서 이야기를 전해 주셨습니다. 담임으로서 학생들을 진학 지도할 때 겪는 어려움들과 인문계와 마이스터고는 어떤 지점이 다르게 느껴지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공유해 주셨습니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 인공지능이 활용되고 있어 우리 주변에서도 어렵지 않게 인공지능을 경험해 볼 수 있는데요. 이러한 인공지능을 막상 학생들에게 가르치려고 한다면, 생각보다 어려운 지점들이 많답니다...😂 인공지능을 바라보는 관점과 접근 방법에 따라 수업의 난이도가 천차만별이 되기 때문에 저처럼 인공지능을 주제로 수업을 하실 때 어려움을 겪는 선생님들이 많이 계실 것 같습니다. 선생님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 위해 이번 글부터 시리즈 형태로 저의 인공지능 수업 이야기를 공유해 드리려고 합니다. 선생님만의 수업 노하우가 있다면, 정보쿠키에 제보해 주셔도 좋습니다 :) 어려운 개념을 쉽게 알려주기 위해 고군분투하시는 정보 선생님들 항상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