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정보 수업에서 '인공지능 윤리'를 다룰 때 정말 자주 등장하는 주제, 트롤리 딜레마를 어떻게 수업에서 풀어갈 수 있을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윤리적 사고력을 키우는 데 효과적인 사례이지만, 실제 수업에서는 생각보다 조심스럽고 섬세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제가 수업 시간에 어떻게 활용했는지, 또 어떤 방식으로 변형해 학생들에게 부담 없이 다가가게 했는지 사례 중심으로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비슷한 고민을 하고 계신 선생님들께 작게나마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편에서는 Git과 Github의 기본 개념과 설치 방법을, 2편에서는 저장소를 만들고 혼자 코드를 업로드하는 법을 다뤘죠. 이번 3편에서는 여러 명이 함께 작업할 때 필수인, Github를 활용한 협업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친구 초코와 딸기가 함께하는 실습 예시를 통해, 저장소에 친구를 초대하고 수락하는 방법과 협업하며 코드를 수정하고 업로드하는 과정까지 자세히 담아보았습니다. Github를 수업에 적용하면 학생들도 팀 프로젝트를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선생님들께서도 작업 파일 관리가 훨씬 편해질 거예요.
지난 도넛쌤 글에 이어 이번에는 간편하게 프로그래밍을 해 볼 수 있는 코랩을 이용해 파이썬으로 2025년의 고온/저온 시기를 예측해 보는 프로젝트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개념들을 간단하게 살펴보며 진행하니, 프로젝트형 수업을 설계하실 때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